React (19) 썸네일형 리스트형 REST API #3 - Fetch Fetch API? 예전의 방식인 server layer를 통해서 API call을 하는 것보다는 client layer에서 직접 API를 호출하는 것이 웹 개발의 새로운 트렌드로 도입되었습니다. 네트워크 요청은 대부분 요청 전송 -> 사용자 정보와 요청에 대한 정보를 통해서 타당성 확인 -> 서버에서 해당 요청에 따른 최신 변경분을 반환 과 같은 방식으로 수행되었습니다. 또한 전자의 경우는 반환을 할 때 페이지 새로고침이 필요했습니다. 후자의 방식은 이러한 모든 것을 페이지 새로 고침 없이 가능하게 했습니다. google.com을 통해서 처음 보이는 페이지에서 검색어를 입력하면 해당 부분에 대한 자동완성이 되는 것을 '새롭다'라고 생각하지 않고 현재는 사용하지만, 맨 처음에 해당 기술을 도입한 시기에는.. REST API #2 - 개념 정리 (2) (2) 리소스 행위가 되는 대상, 혹은 행위를 하는 대상에 대응이 되는 리소스는 URI를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REST URI를 구성할 때 직관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통해서 사용자 간 이해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구성 방식에 있어서 직관성을 높이는 방식이 존재합니다. ※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은 네트워크 상의 자원을 식별하기 위한 문자열의 구성입니다. URI의 한 형태인 URL, Uniform Resource Locator은 통합 자원 식별자로 인터넷 상의 자원 위치를 표현하는 유일한 주소입니다. https://ansrlm.tistory.com의 경우 https://ansrlm.tistory.com이라는 위치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URI이며 URL입니다. ht.. REST API #1 - 개념 정리 (1) API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을 통합하기 위한 정의 및 프로토콜 세트로, 당사자들 간 계약을 나타내는 documentation으로 비유를 합니다. 웹 API는 일반적으로 Request Message에 HTTP를 사용해 Respose Message의 구조를 정의합니다. 이러한 응답 메시지는 XML 또는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의 형태로 제공됩니다. 해당 방식을 통해서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쉽게 조작이 가능합니다. JSON은 이름에도 불구하고 사용 언어와 상관이 없을 뿐 아니라 인간과 기계 모두 read-able 하기 때문에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습니다. REST(ful) REST(REpresentationa.. 이전 1 2 3 다음